올해 구입 예정인 하이브리드와 전기차 세제 혜택 정리

희망찬 2023년의 새해가 밝았지만 민생 경제는 작년에 이어 여전히 암울할 정도로 물가 상승률이 높습니다. 월급 빼고 전기세, 주유비 등 모든 것이 대폭 올랐기 때문인데요. 여기에 덧붙여 올해 전기차와 하이브리드 세제 혜택도 조금 변할 것 같습니다.


📌 하이브리드 차량

하이브리드의 경우 개별 소비세, 교육세, 부가세 총 3가지로 감면 혜택이 있는데요. 개별 소비세는 100만 원, 교육세 30만 원, 부가세 13만 원으로 총 143만 원의 혜택을 받게 됩니다.

친환경 차량인 하이브리드 차량에 대한 개별 소비세 감면 혜택은 24년 12월 31일까지 연장이 되었지만 아직 전기차와 같은 친환경 차량의 대중화가 이루어지기에는 그 기간이 예상한 것보다 오래 걸리기 때문에 자동차 제조사와 정부에서는 개소세 감면 혜택을 계속 유지할 것이라고 보입니다.

사실 사치성 높은 물품에 세금을 부여하는 개별 소비세는 시대에 뒤떨어지는 정책으로 보여지는데요. 예전과는 달리 자동차가 사치품이 아니라 필수적인 개인 교통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여하튼 이런 자동차에 대한 개소세는 제도의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전기차

전기차 개소세 감면 혜택은 22년도와 동일하게 올해에도 유지가 됩니다. 전기 차량의 개소세 감면 혜택은 하이브리드 차량과 동일한 세 가지 항목인데요. 감면 혜택의 차이가 있습니다.

개별 소비세는 300만 원으로 하이브리드 차량 100만 원보다 훨씬 높으며 교육세 역시 90만 원으로 60만원의 차이가 있습니다. 그리고 부가세 39만 원 해서 총 429만 원의 감면 혜택이 주어지고 있습니다. 사실 전기차의 실질적인 혜택은 국가 보조금과 지자체 보조금을 더한 가격인데요. 내가 구입하려는 차량에 국고보조금부터 먼저 확인하시고요 이후 내가 거주하는 지역의 지자체 보조금을 꼭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전기차 보조금 지급 대상은 차량의 가격에 따라서 5,500만 원 미만은 100%, 5,500 ~ 8500만 원까지는 50%이기 때문에 차량 구입 시에 꼭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옵션 가격은 보조금 지급 대상 가격에 포함되지 않기에 전기차 보조금을 100% 받기 위해 이를 활용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 올해 달라지는 세제혜택

1. 상용차

달라지는 점을 간단히 살펴보자면 초소형 상용 전기차는 600만 원, 포터와 같은 상용 전기차는 1,400만 원까지 보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수소차

수소 승용차의 경우는 조금 달라지는데요. 2022년도와 동일한 보조금인 2,250만 원을 받는 데에는 변함이 없지만 예산이 줄어들었습니다. 따라서 기존보다 보조금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수소 승용차는 약 1만 6천 대 수준으로 절반 이상 크게 줄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수소 승용차를 구입하시려는 분들이라면 빠른 신청이 최고의 선택이 될 것 같습니다.

3. 다자녀 혜택 추가

3명 이상의 자녀를 두신 분들에게 희소식인데요. 저출산을 해소하기 위한 일환으로 차량 구입시 개별 소비세 300만 원, 교육세 90만 원, 부가세 39만 원 전기차와 완전히 동일한 세제 혜택을 23년도부터 받을 수 있습니다.

4. 취득세 감면

기존과 변경 없이 올해에도 그대로 유지가 되지만 다가오는 2025년에는 대폭 축소가 될 것으로 예고하고 있기 때문에 새로운 차량을 구입하시는 분들보다 할부나 리스 렌털 등으로 이용하시는 분들이라면 이점을 꼭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렇게 올해 하이브리드와 전기차 기타 자동차 세제 혜택을 살펴보았는데요. 작년과 비교해서 그대로인 점과 달라지는 점이 있기 때문에 혹시 주변에 차량을 구매하시려는 계획이 있는 분들은 오늘 내용 잘 참고하셔서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댓글 쓰기

다음 이전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