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시장이 새로운 도전자를 맞이했습니다. 그 이름은 '쉐보레 이쿼녹스 EV'입니다. 이제부터 쉐보레 이쿼녹스 EV의 매력과 그가 국내 전기차 시장에 어떤 변화를 불러올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쉐보레 이쿼녹스 EV 디자인
이 차량은 전장 4,836mm로 쏘렌토와 유사한 크기를 가지고 있지만, 휠베이스는 2,954mm로 14cm가 더 긴 편입니다. 전고는 슬림한 디자인을 위해 8cm 낮춰졌습니다. 차량의 앞면에는 빛나는 보타이 엠블렘과 역동적으로 움직이는 DRL(daytime running lights)가 특징적입니다. 실제 헤드램프는 작게 디자인되어 검은색 배경 안에 숨겨져 있습니다.
범퍼 디자인은 일반형과 RS 트림 두 가지로 나뉩니다. 일반형 범퍼는 차체와 동일한 색상으로 칠해져 있으며, 하단에 회색 스키드 플레이트가 보입니다. 반면 RS 트림의 경우 범퍼 부분이 검게 칠했으며, 스키드 플레이트 대신 스포티한 분위기를 내주는 스프리터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 |
출처 : 쉐보레 |
차량의 측면에서 볼 때 짧은 오버행과 거의 3m에 달하는 긴 휠베이스로 인해 전기차다운 비율을 보여줍니다. A필러를 앞으로 위치시켜 실내 공간감을 강조하였으며, 상어 지느러미 모양의 C필러와 두 종류의 색상을 사용한 루프 디자인은 역동감을 추가합니다. 후미 유리 부분도 크로스오버 형태를 잘 나타내고 있습니다.
무광 블랙, 유광 블랙 그리고 바디 컬러 세 가지 중 선택할 수 있는 클래딩과 함께 오토풀러쉬 도어 핸들과 팬덤 볼륨이 독특하게 돋보입니다. 주변 환경에서 독특하게 돋보입니다.
마지막으로 후미 부분은 깊게 파여진 일체형 테일램프가 독특한 디자인 요소로 작용하며, 점 선식 램프가 두 줄로 나뉘는 등의 세부 디자인이 돋보입니다.
사용자 중심의 편리함과 안전한 실내
쉐보레의 실내 인테리어는 최근 트렌드에 맞춰 대폭적인 변화를 보여주고 있는데요. 이전에는 올드하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이쿼녹스 EV는 11인치 클러스터와 크기가 큰 17인치 인포테인먼트 디스플레이로 현대적인 감각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아이언맨을 연상시키는 화려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도 눈길을 끕니다.
또한, 물리 버튼도 아주 잘 활용되었습니다. 디스플레이 왼쪽에 위치한 물리식 볼륨 조절 노블과 에어컨 환기구 하단의 공조기 버튼들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한 디자인입니다.
![]() |
출처 : 쉐보레 |
차량 내부 공간 역시 충분합니다. 후방 좌석에서도 무릎 공간이 넉넉하여 여유로운 탑승감을 제공합니다.
마지막으로, 트렁크 부분은 2열 시트를 접으면 최대 1,614리터까지 확장할 수 있어 다양한 수납공간을 제공합니다. 이런 성능과 기능성으로 새로운 쉐보레 인테리어는 사용자들에게 만족감을 줄 것입니다.
주행 성능 및 제원
이 차량은 LG와의 협업을 통해 설계된 얼티움 배터리를 장착하고, GM의 BEV 3 플랫폼을 기반으로 합니다. 전륜구동과 사륜구동 두 가지 방식으로 제공되며, 전륜구동은 210마력과 33.4kgm의 토크를, 사륜구동은 290마력과 47.7kgm의 토크를 제공합니다. 이로 인해 0에서 100km/h까지의 가속 시간은 약 6초로 측정됩니다.
배터리 용량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으나, 한 번 완전 충전 시 EPA 기준으로 약 482km를 주행할 수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이 수치가 약간 감소하여 예상 주행거리는 대략 435km 정도입니다.
충전에 관해서는 최대 150kW 급속 충전을 지원하여, 단지 10분 만에 약 112km 분량을 충전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 차량은 최대 견인력이 약 680kg입니다.
이외에도 무선 Apple CarPlay와 Android Auto 지원 및 HUD(Head-Up Display), 디지털 백미러, 그리고 전방/후방/측면 등 모든 방향을 볼 수 있는 360도 카메라 등 다양한 최신 기능들이 탑재되어 있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적응형 주행 제어(ACC), 차선 유지 보조(LKA), 차선 이탈 경고(LDW), 보행자 감지 기능 및 자동 비상 제동(AEB) 등 안전성 관련 기능들도 적용되어 있어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다양한 보호 조치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출시일 및 가격 예상
이쿼녹스는 1 LT, 2 LT, 3 LT, 2RS, 그리고 3RS 총 다섯 가지 트림으로 출시될 예정입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먼저 2RS 트림이 이번 가을에 북미 시장에 출시될 계획이며, 나머지 트림들은 내년 봄부터 차례대로 출시될 예정입니다.
그러나 GM의 배터리 공급 부족 문제로 인해 생산에 차질이 예상되어 국내에서는 최소 이번 하반기 혹은 아마도 내년까지는 기다려야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북미 시장에서 기본 모델인 1 LT의 시작 가격은 원화로 약 3,700만 원으로 책정되어 있습니다. 이는 현지 기준으로 아이오닉5와 EV6보다 대략 한화 약 1,300만 원 정도 저렴한 수준임을 의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