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차량 히터가 잘 안되면 '이것'부터 먼저 확인하세요!

섬네일


추운 겨울철 차에서 히터를 틀면 찬바람만 들어와서 따뜻해질 때까지 한없이 기다리는 분들이 많이 있는데요. 사실 제대로 된 방법만 알면 이렇게 기다릴 필요 전혀 없습니다. 


✅ 겨울철 히터 관리 팁

1. 차량 히터가 나오는 시간이 길어질 때

만약 차가 빨리 따뜻해지지 않고 찬 바람만 계속 나온다면 냉각수와 부동액을 먼저 확인해 주셔야 하는데요. 냉각수는 엔진을 시켜주는 역할을 하는데요. 운행 시 엔진의 열을 흡수한 냉각수가 히터 코어로 이동하고 여기에 바람을 통과시키면서 차가워지거나 따뜻해지는 겁니다. 그리고 이 냉각수가 얼지 않도록 해주는 것이 바로 부동액입니다.

그런데 대부분의 운전자가 부동액을 보충할 때 물과 희석 비율을 보지 않고 그냥 보충하시는데요. 이렇게 하면 오히려 히터 효율이 떨어지게 됩니다.

부동액 비율이 높을수록 냉각수가 데워지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데요. 데워지지 않은 상태로 순환되다 보니 빠르게 따뜻해지지 않는 것입니다. 그래서 부동액은 중류수 혹은 수돗물과 섞어서 사용해야 합니다. 보통 뒷면에 비율별 어는 점이 표시되어 있으니까 꼭 한번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2. 히터에서 나는 냄새로 내 차의 문제점 확인하는 방법 

히터에서 나는 냄새만으로 내 차의 문제를 빠르게 알 수 있습니다. 꼭 알아야 할 냄새 다섯 가지를 알려드릴테니 혹시 내 차에도 이런 냄새가 난다면 정비소를 찾아서 조치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 차에서 물 비린데 또는 오징어 냄새가 나는 경우
    이런 경우 침수 차일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올해는 침수차 가 생겼기 때문에 더욱 조심하셔야 하는데요. 방향제를 4개 5개씩 꽂아두는 차는 웬만하면 걸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 식초 냄새가 나는 경우
    배터리에서 누액이 발생하면서 나는 냄새일 수 있습니다.
  • 달콤한 냄새가 나는 경우
    부동액이 세는 것 일수도 있습니다. 잘못하면 자동차가 오버히트(과열) 할 수 있으니까 주의하셔야 합니다.
  • 나무 타는 냄새가 나는 경우
    디스크 마모나 디스크 고착 문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고무 타는 냄새가 나는 경우
    타이어의 캘리퍼나 엔진 벨트 문제일 수 있습니다.
  • 오일 타는 냄새가 나는 경우
    엔진 헤드 가스켓이나 헤드 커버 또는 플렉시블 호수 문제일 수 있으니까 이 또한 빠른 점검을 하지 않는다면 정말 위험합니다.
  • 퀴퀴한 냄새는 에어컨 페이터의 곰팡이나 세균이 번식하면서 나는 냄새입니다. 호흡기에 안 좋은 영향을 주니까요. 확인 후 교체해 주세요.


✅기타 겨울철 알아두면 좋은 관리 팁

1. 겨울철 사이드미러 열선 이용하는 방법

추운 겨울철이면 차량 실내 뿐만 아니라 사이드미러에도 성에가 생기는데요. 비단 성에뿐만 아니라 장마철과 같이 비가 많이 오는 날에도 시야가 흐려져서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습니다.

이럴 때 이 열선을 활성화하는 버튼이 바로 리어 버튼인데요. 물결 무늬 버튼입니다. 흔히 앞 유리 뒷유리에 사용 사용하는데요. 사이드미러에도 있다는 사실 꼭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2. AC 버튼은 쓰지 않더라도 정기적으로 작동시켜 주세요.

앞 서 말씀 드렸던 리어 버튼이나 프론트 버튼은 겨울철이나 장마철 차량 실내에 습기가 생길 때 많이 사용하는데요. 이런 버튼을 사용할 때에는 AC 버튼도 항상 같이 켜지는데요. 그 이유는 AC 버튼은 냉방 뿐만 아니라 제습 기능도 있기 때문입니다.

이 AC 버튼은 에어컨과 같아서 너무 오랫동안 쓰지 않으면 녹이 쓰는데요. 그래서 꼭 사용하지 않더라도 정기적으로 작동 시켜 곰팡이나 녹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히터는 트렁크에도 나오는데요. 그래서 음식과 같이 상할 수 있는 것을 실었을 때에는 히터를 꼭 내기 순환으로 해주셔야 합니다.


지금 까지 겨울철 히터 관리와 냄새로 내 차의 문제점을 파악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대부분의 운전하시는 분들은 사실 운전만 잘하자 차량 정비에 관해서는 '차'자도 잘 모르는 경우가 태반입니다. 그래서 조그마한 문제가 발생해도 바로 정비 센터에 곧바로 가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요. 오늘 알려드린 히터 관리 팁을 잘 기억해 두셨다가 이런 일이 발생한다면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댓글 쓰기

다음 이전
loading